쭈미로운 생활
close
프로필 배경
프로필 로고

쭈미로운 생활

  • 분류 전체보기 (27)
    • 개발 이야기 (17)
      • Javascript 이야기 (13)
      • Flutter 이야기 (4)
    • 유용한 정보 (4)
    • 한눈에 스킨 (6)
  • Home
  • hannoone
  • TensorFlow
  • JavaScript
  • Flutter
플러터(Flutter) 데이터 저장하는 방법 - 로컬 데이터베이스

플러터(Flutter) 데이터 저장하는 방법 - 로컬 데이터베이스

안녕하세요. 오늘은 플러터로 앱을 개발하면서 꼭 필요한 데이터 저장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 데이터 저장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, 이 글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세 가지 방법인 Shared_Preferences, SQLite, path_provider 패키지를 사용해서 각각 예제를 만들어볼게요! 1. Shared Preferences 간단한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방법이에요. 키(Key)와 값(Value)의 쌍으로 이루어진 작은 정보들을 저장하고, 사용자 설정이나 로그인 정보 같은 간단한 데이터를 저장할 때 자주 사용된답니다. 가볍고 빠르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. 단점: 매우 간단한 데이터 저장 방식이기 때문에,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거나 관리하기에는 부적합해요. 또한,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개발 이야기/Flutter 이야기
  • · 2023. 5. 17.
  • textsms
  • navigate_before
  • 1
  • navigate_next
전체 카테고리
  • 분류 전체보기 (27)
    • 개발 이야기 (17)
      • Javascript 이야기 (13)
      • Flutter 이야기 (4)
    • 유용한 정보 (4)
    • 한눈에 스킨 (6)
최근 글
인기 글
최근 댓글
태그
  • #한눈에 스킨
  • #웹스크래핑
  • #fetch
  • #SEO최적화 스킨
  • #네이버API
  • #자바스크립트
  • #javascript
  • #flutter
  • #티스토리 스킨
  • #플러터
Copyright ©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.
Designed by JJuum

티스토리툴바